320x100

'언젠가'라는 말로 생각하면 실패한다.

'지금'이라는 말로 행동하면 성공한다.

- 벤자민 프랭클린 -

 

목표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

고난과 시련은 점점 더 심화된다

- 괴테 -

 

시간은 제한되어 있다.

다른 사람의 인생을 사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

- 법구경 -

 

열린 문 바라보기

하나의 문이 닫히면 또 다른 문이 열린다.

하지만 우리는 너무나 오랫동안

후회스럽게 닫힌 문을 바라보는 탓에

우리를 위해 열리는 문을 바라보지 못한다.

 

When one door closes, another opens;

but we often look so long and

so regretfully upon the closed door

that we do not see the one

which has opened for us.

 

-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(Alexander Grahan Bell) -

 

 

출처 :

하루명언 App

매일 읽는 한줄 명언

320x100
반응형

'자기계발 > 하루 명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명언 100일 도전] 42일차  (0) 2024.04.01
[명언 100일 도전] 41일차  (2) 2024.03.31
[명언 100일 도전] 39일차  (0) 2024.03.24
[명언 100일 도전] 38일차  (0) 2024.03.23
[명언 100일 도전] 37일차  (2) 2024.03.22
320x100

실질임금

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임금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한 것을 명목임금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명목임금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실제 구입할 수 있는 수량 즉,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해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것을 실질임금이라고 한다. 물가상승률이 명목상승률보다 더 높으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어 실제 구매력은 감소하게 된다.

 

연관검색어 : 소비자물가지수(CPI), 인플레이션

 

 

[출처] : 한국은행 - 경제교육관련 발간자료,  2023_경제금융용어 700선-게시(책갈피포함)f.pdf

320x100
반응형
320x100

실업률갭

실업률과 자연실업률간의 차이를 말한다.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의 여력(slack)을 평가 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, 잠재GDP와 실제GDP의 차이인 GDP갭과 함께 경기수준 또는 경제 전반의 유휴자원을 파악할 때 유용하다. 실업률갭이 양(+)인 경우에는 노동공급 여력이 양호한 상황으로 인플레이션압력이 높지 않음을 나타내며, 실업률갭이 음(-)인 경우에는 노동공급 여력이 소진된 상황으로 노동력 확보경쟁 등으로 인한 임금상승이 인플레이션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볼 수 있다. 따라서 물가안정을 주된 정책목표로 하는 중앙은행의 경우 실업률갭은 노동시장을 통한 인플레이션 상승압력을 평가하거나, 통화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수급불균형 해소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등을 살펴보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. 다만 중앙은행이 실업률갭만을 염두에 두고 통화 정책을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데, 이는 실업률갭의 구성요소인 자연실업률이 실시간으로 관측되지 않고 추정방법도 다양하여 정확한 추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중앙은행이 원하는 정책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.

 

연관검색어 : 제조업평균가동률갭, 자연실업률

 

 

[출처] : 한국은행 - 경제교육관련 발간자료,  2023_경제금융용어 700선-게시(책갈피포함)f.pdf

320x10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