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20x100
기회비용
인간의 욕구에 비해 자원이 부족한 현상을 희소성이라고 한다. 희소한 자원을 가지고 인간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누구든지 부족한 자원을 어느 곳에 우선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. 즉 다양한 욕구의 대상들 가운데서 하나를 고를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. 이 때 포기해 버린 선택의 욕구들로부터 예상되는 유·무형의 이익 중 최선의 이익을 기회비용(opportunity cost)이라고 한다. 자원의 희소성이 존재하는 한 기회비용은 반드시 발생하게 되어 있고 이는 경제문제를 발생시키는 근본요인이 된다. 기업은 기업가가 투자를 선택할 경우 포기한 나머지 선택의 가치인 투자금액의 은행예금 이자 등이 기회비용이 된다.
연관검색어 : 한계비용
[출처] : 한국은행 - 경제교육관련 발간자료, 2023_경제금융용어 700선-게시(책갈피포함)f.pdf
320x100
반응형
'하루 하나(Today one more)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금융용어] 긴축정책 (0) | 2024.02.11 |
---|---|
[경제금융용어] 긴급수입제한조치 (0) | 2024.02.11 |
[경제금융용어] 기펜재 (0) | 2024.02.11 |
[경제금융용어] 기타기본자본(Additional Tier 1) (0) | 2024.02.11 |
[경제금융용어] 기축통화 (0) | 2024.02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