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20x100
부가가치유발계수 / 부가가치계수
소비, 투자, 수출 등 최종수요의 발생이 국내생산을 유발하고 생산 활동에 의해서 부가가치가 창출되므로 최종수요의 발생은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 된다. 산업연관표를 이용하면 최종수요와 부가가치와의 기능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바,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경우 국민경제 전체에서 직·간접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 단위를 보여주는 계수가 부가가치유발계수(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)이다. 예를 들어 농림수산품의 부가가치계수가 0.9라는 것은 농림수산품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경우 직·간접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가 0.9단위임을 의미한다. 한편, 각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와 수입유발계수의 합은 항상 1이 된다. 이에 대한 의미를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최종수요 총액에서 수입을 차감하여 나타낸 지출국민소득이 생산국민소득인 부가가치 총액과 항상 일치하고 있는 점과 그 원리를 같이 하고 있다.
연관검색어 : 생산유발효과
[출처] : 한국은행 - 경제교육관련 발간자료, 2023_경제금융용어 700선-게시(책갈피포함)f.pdf
320x100
반응형
'하루 하나(Today one more)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금융용어] 부실채권정리기금 (0) | 2024.03.03 |
---|---|
[경제금융용어] 부동화 / 무권화 (0) | 2024.03.03 |
[경제금융용어] 부가가치기준 무역(TiVA) (0) | 2024.03.02 |
[경제금융용어] 부가가치 (0) | 2024.03.02 |
[경제금융용어] 볼커룰(Volcker Rule) (0) | 2024.03.02 |